대서 (중복) 날씨/ 계절/ 절기/더위/여름

대서 [大暑]

이전 표제어목록 보기다음 표제어글씨 크게 보기글씨 작게 보기인쇄하기(새창으로 열림)
대서
크게보기
>

정의
24절기 중 열두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서(小署)와 입추(立秋) 사이에 든다. 대서(大暑)는 음력으로 6월에 있으며,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에 든다. 태양의 황경이 대략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이다.

내용
우리나라에서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로,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예부터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이다. 여름의 토용(土用)은 이 계절에 들어간다. 토용이란 토왕용사(土王用事)의 준말로 토왕지절(土旺之節)의 첫날을 말한다. 토왕지절은 오행설(五行說)에서 토기(土氣)가 왕성하다는 절기이다. 사계절은 사립(四立, 입춘·입하·입추·입동)에서 시작하므로 사립 전의 18일간이 토에 배당되는데, 토왕용사에 태양은 각각 황도 위의 황경 27도, 117도, 207도, 297도의 위치에 온다. 오행설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태양의 황경에 기준을 둔 것이므로 계절의 변화와 일치한다. 특히 겨울의 토왕용사는 혹한(酷寒)의 시기이고, 여름의 토왕용사는 혹서(酷暑)의 시기이다. 이것을 각각 겨울의 토용, 여름의 토용이라고도 한다. 토왕용사에 흙일을 하면 해롭다는 속신(俗信)이 전해지기도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을 보면 대서는 6월 중기로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에서 반딧불이 나오고, 차후(次候)에는 흙에 습기가 많으며 무덥고, 말후(末候)에는 큰 비가 때때로 온다고 하였다.
대서는 중복 무렵일 경우가 많으므로, 삼복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계곡이나 산정(山亭)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때때로 이 무렵 장마전선이 늦게까지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있으면 큰 비가 내리기도 한다. 불볕더위, 찜통더위도 이때 겪게 된다. 무더위를 삼복으로 나누어 소서와 대서라는 큰 명칭으로 부른 것은 무더위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쳐 주기 위함이다.
이 무렵이 되면 농촌에서는 논밭의 김매기, 논밭두렁의 잡초베기, 퇴비장만 같은 농작물 관리에 쉴 틈이 없다. 또한 참외, 수박, 채소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있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고, 가물면 과일 맛이 난다.

 

고문헌
高麗史, 東國歲時記
韓國의 歲時風俗 (張籌根, 螢雪出版社, 1984)
韓國의 歲時風俗Ⅱ (국립민속박물관, 1998)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국립민속박물관, 2003)

 

by ZEO01568 2015. 7. 23. 13:06

체질에 따른 외모는 어떻게 다를까

태양인은 머리 쪽이 왕성한 체질이다. 가슴 윗부분이 발달한 체형으로 목덜미가 굵고 실하며 머리가 큰 편이다. 대신 허리 아랫부분이 약해 엉덩이가 작고 다리가 오그라들어 서 있는 자세가 불안정하다. 한마디로 가분수 모양인데, 하체가 약한 편이므로 오래 걷거나 서 있기 힘들다. 보통, 용모가 뚜렷하고 뚱뚱하지 않은 편이다. 태양인 여자는 옆구리나 허리가 빈약하며 자궁의 발육이 나빠서 임신을 못하기도 한다.

소양인은 가슴 쪽이 왕성하며 양 옆구리가 기다란 편이다. 따라서 상체가 실한 반면에 엉덩이 아래는 약한 편이다. 엉덩이 쪽이 빈약해 앉은 모습이 외로워 보이는데 말하는 것이나 몸가짐이 민첩해서 때로는 경솔해 보일 수도 있다. 보통 마른 편이며 스트레스를 받으면 감정 조절을 잘 못한다. 먹고 자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어 뚱뚱해지기도 한다.

태음인은 허리 쪽의 모양이 왕성해 서 있는 자세가 굳건하지만 목덜미의 기세는 약하다. 대개, 살이 쪘고 체격이 건실해서 뚱뚱하며 특히 배에 살이 많이 찐다. 간혹, 수척한 사람도 있지만 골격은 좋다. 대부분 키가 크고 체격이 좋은 편이며 키가 작고 여윈 경우는 드물다.

소음인은 엉덩이가 크고 앉은 자세가 왕성하지만 가슴의 모양이 외로워 보이고 약해서 새가슴처럼 보인다. 보통, 키가 작은데 드물게 키 큰 사람도 있다. 상체보다 하체가 균형 있게 발달했고, 걸을 때는 앞으로 수그린 모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상체보다 하체가 건실한 편이지만 몸 전체를 보면 체격이 작고 말라서 약해 보인다. 소음인 여자는 태양인 여자와는 반대로 엉덩이가 크고 자궁의 발육이 좋은 체형이기 때문에 아이를 잘 낳는다고 한다.

체질에 따라 걸음걸이도 다르다. 태양인은 발걸음이 가벼우나 왠지 불안정해 보인다.

소양인은 몸놀림이 가벼워서 걸음걸이가 날래다. 용맹하고 날렵한 기운을 감당하지 못해 상체를 자주 흔든다. 걸을 때에는 항상 먼 곳을 보고 걷는다.

태음인은 발걸음이 무겁고 잘 움직이려고 하지 않는다. 허리가 발달해 뒷짐을 지고 걸으며 허리를 흔들기도 한다.

소음인은 자신의 마음을 잘 드러내지 않는 소심한 성격으로 앞으로 수그린 모습을 하고 조심스레 걷는다.

목소리 역시 차이가 있다. 태양인은 말이 많고 급하다. 항상 자신의 직관과 판단을 믿기 때문에 말에 힘이 들어가고, 뜻대로 되지 않을 때는 억지를 부린다. 소양인은 어감이 맑고 기운이 좋다. 목소리가 무겁지 않으며 낭랑한 편이다.

태음인은 말이 적으며 어감이 웅장한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무겁게 가라앉는 편이다. 보통 말을 잘 안하려고 하나, 일단 말을 하면 좀처럼 고집을 꺾으려 하지 않는다.

소음인은 어감이 조용히 가라앉고 온순해 단정하고 우아한 느낌을 준다. 자신의 말을 들어줄 때는 조곤조곤 말을 잘 하다가도 자신의 말이 통하지 않을 때에는 말을 삼키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체질에 따른 외모는 어떻게 다를까 (사상의학 바로 알기, 2007. 1. 25., ㈜살림출판사)  

 

네이버 건강백과에  유익한 정보들이 많이 올라온다!

 

by ZEO01568 2015. 7. 17. 23:28

9호 태풍 찬홈 11호 태풍 낭카 북상중 ( 태풍 대비 요령 / 주의사항 / 안전 / 감전 ) 낙서장

2015.07.12. 112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tigerpjh/220417610003

 

9호 태풍 찬홈 11호 태풍 낭카 북상중 ( 태풍 대비 요령 / 주의사항 / 안전 / 감전 )​

하늘이 바로 머리 위에 있는것 같이 무더운 여름 입니다.

오늘 전국에 비가 오고 있고 서울기준으로 내일까지 온다는데


오랜만에 비라 반갑기는 하지만 태풍까지 따라 달려드려 하니 걱정입니다.



그래서 오늘 간단한 태풍 대비 요령에 대해 알아 볼까 합니다.


태풍 대처 요령에는 태풍의 직접적인 피해와 이로 인한 간접적인 피해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직접적인 피해란 강한 바람으로 인한 구조물의 유실등이 있을수 있고

간접적인 피해란 비바람으로 인하여 부서진 구조물에 의한 부상 또는 감전 등이 있을 수 있는데

특히나 비가 올떄 감전의 위험은 무시 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맨홀 뚜껑 감전'에 행인 3명 사상

(출처 중앙일보)

한해 장마철 감전사고자가 800명에 이른다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겠죠.

자 이제 장마철 주의 사항에 대하여 알아볼까요?


1.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2.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3.하천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4.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을 단단히 고정합시다.


5.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6.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7.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


8.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예전에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태풍 대비 방법을 소개한 적이
있었는데 기억나시나요?
바로 물에 젖은 신문을 유리창에 붙이는 것~!

신문지에 물을 묻혀 붙이던가

신문지를 대고 물을 분부하여
창문에 붙여줍니다


강풍에도 유리창이 깨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죠.

테이프로 붙이는 것보다 더 강력하다니 신문지로

대비해봅시다!

 ​

. 

by ZEO01568 2015. 7. 16. 12:47

소이 캔들 간단 가이드!! ( + 필수 숙지 사항 ) 팁 /  만들기 / 양키캔들  / 천연양초 / DIY / 공예 / 포인트 / 주요사항

소이 캔들 만들기는 대략  1 녹이기 2 굳히기 3 정리하기

이렇게 세가지로 요약 됩니다!


기본준비물- 노동력! / 정성!! / 사랑! / 소이 왁스 / 원하는 향의 오일 / 심지 / 나무젓가락




먼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여 소이 왁스라는 캔들 베이스를 구매합니다

그리고 요 소이 왁스 라는 화이트 초콜릿 모양의 베이스를 녹여 줍시다, 여기서 두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중탕 과 전자렌지! 




 

저는 마이크로 웨이브 전자파를 싫어하는 자연주의자 이므로 중탕을 선택합니다...

중탕시 용기가 작으면 여러번 녹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중탕후 HOT 해진 용기를 꺼내 10분간 식힌후 오일(향을 내기 위한) 투입합니다.

(왜냐하면 너무 뜨거운 베이스에 투입할 경우 향이 날라갈 수 있으므로!)


그리고 젓가락으로 심지를 중앙에 고정 시키면 떙 끝 enD 굿바이..(심지에도 면 심지와 나무심지가 있으나 나무 심지는 비싸니 패스~!)

여기서..용량이 큰 용기를 사용하여 크고 멋진 캔들을 만들고자 할 때!

소이 캔들의 특성상 터널이 생길 수 있으므로 (터널:일정하게 녹지 않고 두더지가 땅파고 들어가는 모양) 쌍 심지를 사용하는게 터널을 대비할 수 있는 팁 되겠습니다.


 

여기서 제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정리하기 단계인데요

여러 블로그에 나와 있듯이

다쓴 용기, 다태운 용기 등을 정리할떄 뜨거운 물로 불린후

티슈로 닦아준다.

라고 하고 있습니다만.

만약에 뜨거운 물로 불린다음에 화장실 변기에 버려 보세요..

어떻게 될까..

물에 닿자마자 고체화 되어 엉키고 난리 납니다.

이것이 만약에 수도관으로 그냥 직행 할경우

자칫 수도관이 막히는 사태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캔들 하나 만들어보고자 그런 사태를 일어나게 할수는 없죠.


그래서

THinKInG

바로 뜨거운 물에 불린용기(또는 그냥 촛농이 있는 상태)에 세제를 넣습니다!!

그리고 저어~ 막 저은 다음에  버리게 되면

섞이지 않은 일부만 고체가 되고 대부분은 기름 섞인 액체상태로

당신의 수도관을 괴롭히지 않을 겁니다.


저는 수도관 막힐까봐 항상 변기에 버리곤 합니다.

혼날까봐 ㅜㅠ


이상 간단 소이 캔들 만들기 였습니다!


by ZEO01568 2015. 7. 16. 12:35
| 1 |